본문 바로가기
  • 경영, 직장생활 정보를 공유 하는 블로그 입니다

나이4

나이 별 호칭과 뜻 나이 별 호칭 과 뜻 아래는 0살부터 120살까지의 나이별 호칭과 그 뜻을 정리한 표입니다.한국 전통에서 유래된 호칭과 그 의미를 담았습니다: 우리나라는 출생하면 바로 1세이며, 출생 이후 나이별 호칭이 다양 합니다우리나라 나이별 호칭은 아래 표와 같고, 만 나이가 아닌 우리나라 나이 입니다 0~1세아기갓 태어난 아이1세돌첫 번째 생일10세황구(黃口)어린아이15세지학(志學)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16세여자 : 과년(瓜年)여성의 나이 16세, 20세남자 : 약관(弱冠), 여자 : 방년(芳年)성년이 되는 나이30세이립(而立)뜻을 세우는 나이40세불혹(不惑)미혹되지 않는 나이50세지천명(知天命)하늘의 뜻을 알게 되는 나이60세이순(耳順)모든 것을 이해하고 순응하는 나이61세환갑(還甲)육십갑자가 한 바퀴 돌.. 2025. 4. 22.
나라에서 정한 생애주기별 연령 구분 대한민국 정부에서 정한 생애주기별 연령 구분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생애주기별로 연령을 구분하고, 또한 개별 법령에서도 다양한 연령기준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 생애주기별 연령 구분 태아기영유아기(0~6세)아동기(7~12세)청소년기(13~19세)성인기(20~39세)중·장년기(40~64세)노년기(65세 이상) 개별 법령에서 사용하는 연령기준고령자고용촉진법시행령에 따르면, 고령자는 55세 이상, 준고령자는 50세 이상 55세 미만입니다. 개별 법령에서는 아동, 청소년, 미성년자, 청년, 노인 등 법의 적용대상을 규정하면서 다양한 연령기준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 연령기준의 중요성연령기준은 정책 추진의 대상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 노인 연령 기준한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산업화된 사회에.. 2025. 4. 21.
2024년 만나이 2024년 만 나이 정리공식적으로는 만 나이를 사용하게 되어있죠만나이 정리표 입니다출처 : 법제처 2024. 1. 3.
나이, 만 나이 통일 [윤석열 정부 120대 국정과제]  13-5 ‘만 나이’로 법적‧사회적 기준 통일- 「민법」(법무부) 및 「행정기본법」(법제처)에 ‘만 나이’ 계산 및 표시 규정 명문화- ‘연 나이’ 규정 개별법 전수 조사 및 ‘만 나이’로 통일 방안 검토(법제처) 공포 : 2022년 12월 27일시행 : 2023년 06월 28일  만 나이 통일 관련 FAQ Q1) ‘만 나이’는 어떻게 계산하는지?A1) ‘만 나이’는 출생일 기준 0살로 시작하여,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더하는 방식으로 계산함.즉, 다같이 1월 1일에 1살씩 더하는 게 아니라 각자 생일에 1살씩 더하면 됨.Q2) 취학 의무 연령에 변화가 있는지?A2) 변화 없음. 「초‧중등교육법」에 따라 종전과 동일하게 만 6세가 된 날이 속하는 해의 다음 해 3월.. 2023. 6. 24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