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  • 경영, 직장생활 정보를 공유 하는 블로그 입니다
카테고리 없음

제헌절 - 7월 17일

by Career-Young 2025. 7. 3.

7 17일 제헌절, 대한민국 헌법의 의미를 되새기다

제헌절

 

 

매년 7 17일은 대한민국의 제헌절입니다.

 

올해는 제77주년 제헌절인데요. 제헌절은 대한민국 헌법 공포를 기념하는 국경일로 5대 국경이 중 하죠, 그런데 태극기를 게양하는 5대 국경일 중 제헌절만 유일하게 공휴일이 아닌 국경일 입니다

 

제헌절은 우리 국민들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살아갈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한 대한민국 헌법이 제정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에요. 단순한 공휴일을 넘어, 우리 삶에 깊이 뿌리내린 헌법의 가치를 되새겨보는 중요한 날이죠.

 

 

제헌절은 왜 7 17일일까요?

 

제헌절이 7 17일로 지정된 이유는 1948년 이날, 민주공화국의 기틀을 다지는 대한민국 헌법이 공포되었기 때문입니다. 당시 제헌국회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중요한 과업 중 하나로 헌법 제정을 최우선으로 삼았고, 마침내 우리 사회의 기본 질서와 국민의 권리 및 의무를 규정한 헌법이 탄생하게 된 것이죠.

 

 

헌법,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?

 

헌법은 단순히 법 조항의 나열이 아닙니다. 우리 모두가 누려야 할 기본적인 권리(자유, 평등, 행복 추구권 등)를 보장하고, 국가가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본 원칙을 제시합니다. 예를 들어, 우리가 언론의 자유를 누리고,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며, 투표를 통해 우리의 대표자를 뽑는 것 모두 헌법에 명시된 내용 덕분입니다. 헌법은 국민 개개인의 존엄과 가치를 존중하며, 더 나아가 정의로운 사회를 건설하는 데 이바지합니다.

 

 

제헌절, 어떻게 기억하고 기념해야 할까요?

과거 제헌절은 공휴일이었지만, 5일 근무제 도입과 함께 2008년부터는 공휴일에서 제외되었습니다. 하지만 제헌절의 의미가 퇴색된 것은 결코 아닙니다.

  • 태극기 게양: 제헌절에는 가정과 직장에 태극기를 게양하여 나라의 중요한 역사를 기억하고 기념하는 마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.
  • 헌법의 의미 되새기기: 헌법 전문이나 주요 조항들을 찾아 읽어보며, 우리 사회의 근간이 되는 가치들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.

제헌절은 단순히 쉬는 날이 아닌, 우리 스스로가 대한민국의 주인임을 상기하고, 민주주의의 가치를 되새기는 소중한 날입니다.

 

최근 '헌법' 관련해서 이슈가 많았던 만큼 7 17, 잠시 헌법의 의미를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?

 

반응형

댓글